카테고리 없음

개인 종합소득세 계산법

Kkddkkdd 2025. 5. 7. 16:37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내가 내야 할 종합소득세는 얼마일까?" 궁금하셨죠?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 계산법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국세청 종합소득세 자동계산기 바로가기

2025년 종합소득세 계산법

1. 종합소득세 계산 순서

종합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계산됩니다.

  • 총소득금액: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등을 모두 합산합니다.
  • 소득공제: 인적공제, 연금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법정 공제를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 세액공제 및 기납부세액 차감: 근로소득세액공제, 연금계좌 세액공제 등 세액공제와 이미 납부한 세금을 차감하여 최종 납부세액을 결정합니다.

국세청 종합소득세 자동계산기 바로가기

2. 2025년 종합소득세 세율표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는 누진세율 구조로,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구간 (만원)  세율 누진공제액 (만원) 
 0 ~ 1,200  6%  0
1,200 ~ 4,600  15%  108   
 4,600 ~ 8,800 24% 522 
  8,800 ~ 15,000 35%  1,490
 15,000 ~ 30,000   38% 1,940 
 30,000 ~ 50,000 40%  2,540
50,000 ~ 100,000 42%  3,540 
 100,000 초과 45%     6,540

 

 세액 계산은 다음 공식으로 진행됩니다.

산출세액 = (과세표준 × 해당 세율) - 누진공제액

 

3. 예시로 알아보는 종합소득세 계산 

연소득이 5,000만 원인 경우, 과세표준은 5,000만 원이며 해당 세율은 15%입니다.

산출세액 = (50,000,000 × 0.15) - 1,080,000 = 6,420,000원

 

연소득이 1억 2천만 원인 경우, 과세표준은 1억 2천만 원이며 해당 세율은 35%입니다.

산출세액 = (120,000,000 × 0.35) - 14,900,000 = 27,100,000원

 

4. 절세를 위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활용

  • 인적공제: 본인 150만 원, 배우자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 원 연금보험료 공제: 납부액 전액
  • 건강보험료 공제: 납부액 전액
  • 특별소득공제: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 세액공제: 표준세액공제(13만 원), 근로소득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등

종합소득세, 왜 알아야 할까요?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다양한 소득을 합산하여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근로소득 외에도 사업소득, 이자·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등이 포함되며,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되죠.

 

특히 프리랜서, 1인 사업자, 부동산 임대업자 등은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므로, 정확한 계산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정확한 종합소득세 계산과 절세 전략으로, 세금 부담을 줄이고 재정적인 안정을 도모하시길 바랍니다.